월 배당 300만원 만들려면 총 얼마가 필요할까? 💸
배당으로 매월 300만원 정도를 안정적으로 받으면 직장 생활을 졸업하는 것이 가시권에 들어올 정도일거예요. 기존의 소비습관이 있긴 하겠지만 절약할 부분은 절약한다면, 그리고 월 배당금을 더 늘리는 가능성도 생각하면 직장인 졸업은 충분히 가능할겁니다.
오늘은 7개 종목을 위험 정도에 따라 여섯가지 케이스로 나눠보고, 세후 월 300만원(연 3,600만원)을 만들려면 실제로 얼마가 필요한지 계산을 해봅시다! 300만원이 아니라 월 100만원, 200만원을 목표로 하는 분들도 보시면 좋을거예요.
1️⃣ 세율과 세금부터 알아보자 🧮
1-1. 배당소득세 & 금융소득종합과세
먼저, 금융소득 구간별 세율은 아래와 같아요.
구간별 금융소득(연) | 종합소득세율(국세) | 지방소득세 포함 | |
---|---|---|---|
0 ~ 1,400만원 | 6% | 6.6% | |
1,400 ~ 5,000만원 | 15% | 16.5% | |
5,000 ~ 8,800만원 | 24% | 26.4% | |
8,800 ~ 1억5천만원 | 35% | 38.5% | |
1억5천 ~ 3억원 | 38% | 41.8% | |
3억 ~ 5억원 | 40% | 44.0% | |
5억 ~ 10억원 | 42% | 46.2% | |
10억원 초과 | 45% | 49.5% | (PwC Tax Summaries) |
이걸 바탕으로 중요한 점을 짚어보면,
구분 | 값 |
---|---|
세후 목표 | 연 3,600만 원 |
해외 ETF‧REIT 배당의 원천징수 | 15% |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선 | 연 2,000만 원 초과 |
종합소득세율(국세 + 지방세) | 6.6 % ~ 49.5 % (PwC Tax Summaries) |
이렇게 돼요. 배당이 전부 해외 원천이라(우리는 지금 미국 월배당 ETF로 구성하는걸 가정하고 있어요) 15%가 먼저 빠집니다. 그 15%는 외국납부세액공제라서 국내 종합소득세에서 공제돼요(환급은 안됨). 총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넘으면 전액을 종합과세표준에 넣어서 계산해요.
자, 이제 구간별 세금 계산을 해봅시다.
단계 | 금액(원) | 계산식 / 세율 | 세액 |
---|---|---|---|
① 원천징수(미국) | 41,450,000 | × 15 % | 6,217,500 |
② 국내 종합소득세(국세 + 지방세) | |||
└ 0 ~ 14,000,000 | 14,000,000 | × 6.6 % | 924,000 |
└ 14,000,000 ~ 41,450,000 | 27,450,000 | × 16.5 % | 4,539,000 |
② 합계 | — | — | 5,463,000 |
③ 외국납부세액공제 | min(①,②) | = 공제한도 | – 5,463,000 |
④ 국내추가납부세액 | ② – ③ | 0 | |
⑤ 최종 세후 수령액 | 41,450,000 – 6,217,500 – 0 | 35,232,500 |
그러면 약 3,523만원 정도로 얼추 세후 3,600만원에 근접하죠?
포인트는 이거예요.
- 해외 ETF 배당은 계좌로 입금되기 전에 15% 원천징수 돼요. 즉, 원래 배당수익의 15% 만큼 빠진 금액이 입금돼요.
- 금융소득(이자 + 배당)이 연 2,000만원을 넘기면 위 세율로 5월에 다시 한번 종합 과세해요. 이게 바로 5월 종합소득세 입니다.
- 결론적으로, 1년에 4,145만원 배당금을 받으면 원천세가 이미 15% 라서 이미 세금을 떼간게 있기 때문에 실제 종합소득세는 환급 수준이에요. 물론 개별주식으로 수익을 본게 있다면 더 내야겠죠!
자, 이제 종목을 알아봅시다.
2️⃣ 종목별 레이어 & 배당률 🌐
레이어 | 티커 | 최근 연간 배당수익률 |
---|---|---|
Layer 1 (고배당/고변동성) | CONY | 128.0% (StockAnalysis) |
NVDY | 80.7% (StockAnalysis) | |
MSTY | 135.3% (StockAnalysis) | |
Layer 2 (커버드콜 ETF) | JEPQ | 10.7% (Nasdaq) |
QYLD | 11.8% (Nasdaq) | |
Layer 3 (상대적 안정 자산) | SGOV | 4.1% (MarketChameleon.com) |
Realty Income(O) | 5.8% (DividendMax) |
※ 수익률은 2025년 7월 말 기준이고, 변동/환율 위험이 있어요. 특히 레이어 1은 옵션 프리미엄 덕분에 가파른 배당과 급격한 자본손실이 함께 올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해요. 레이어 1을 비교적 안전하게 투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건 뒤에서 알아볼게요.
3️⃣ 여섯 가지 케이스 비교 📊
케이스 | 레이어1 | 레이어2 | 레이어3 | 가중 평균 배당률 | 세후 월 300만원에 필요한 원금 |
---|---|---|---|---|---|
① 가장 위험 | 30% | 60% | 10% | 41.7% | 약 1.0억 원 |
② 고위험 | 30% | 50% | 20% | 41.0% | 1.01억 원 |
③ 중위험 | 20% | 60% | 20% | 30.7% | 1.35억 원 |
④ 중위험 | 20% | 50% | 30% | 30.1% | 1.38억 원 |
⑤ 저위험 | 10% | 60% | 30% | 19.7% | 2.10억 원 |
⑥ 가장 안전 | 10% | 50% | 40% | 19.1% | 2.17억 원 |
해석해볼까요?
- 같은 월 300만원이라도 위험도를 낮추면 2억원 정도로 필요 투자금이 두 배 이상 불어나요. 당연한거겠죠 이건?
- 1억 남짓으로 월 300만원을 노리는 방법은 있지만, Layer 1 자체 변동성이 지나치게 크다는 점을 생각해서 자신의 상황에 맞게 투자해야돼요.
적당히 안정을 추구한다면 1억 중후반 정도의 금액이면 월 300만원은 만들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크게 세가지예요.
- 월 300을 만드는데 생각보다 4~5억씩 필요하지는 않다. 레이어 1을 5%까지 낮춘다고 하더라도 3억 미만으로도 가능하다.
- 위험요소가 있는 초고배당주를 1~20% 넣는 것이 장기적으로 좋을 수 있다. 초고배당주가 급격한 폭락을 맞는다 하더라도 투자금의 1~20%로 제한했기 때문에 손실에는 한계가 있고, 초고배당으로 장기적으로 수익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죠.
- 어쨌든 월 300을 만들려면 배당주식에만 1~2억이 들어가야해서 개별주식을 위한 투자금은 따로 마련해야해요. 좋아하는 주식이 있다면 안사고 못베기잖아요.. ㅠㅠ
투자 성향별로 어떤 조합으로 하면 좋을지 정리해드릴게요.
4️⃣ 내 투자 성향별 추천 🌈
투자 성향 | 맞춤 케이스 | 이유 |
---|---|---|
⚡️ 공격형(20/30대, 변동성 감내) | ①/② | 원금 1억 수준으로 빠른 캐시플로우. 단, 자본손실/배당축소 위험을 관리해야된다 |
🏃♂️ 적극 성장추구(30/40대) | ③ | Layer 1 비중을 줄여 변동성은 절반, 필요 원금은 1.3억대로 타협 |
🛡️ 안정 추구(40대 이상, 은퇴 설계) | ④/⑤ | 커버드콜, 채권, 리츠 조합. 배당률 20~30%대로도 월 300 가능 |
🤗 보수적, 은퇴 후 생활비(50/60대) | ⑤/⑥ | 원금 2억+ 분산효과 최대화. 은행 예금/연금과 병행 권장 |
5️⃣ 앞으로의 액션 플랜 🚀
- 분산을 조금은 해봅시다: 고배당 ETF라도 발행사/기초자산이 겹치면 리스크가 똑같아요. 가령, CONY와 MSTY를 같이 케이스를 말하죠. 리얼티인컴(O)이나 SGOV 같은 안전자산에도 넉넉하게 넣어주자구요. 혹시 리얼티인컴(O)이나 SGOV 같은 안전자산에 해당하는 ETF가 궁금하다면 블로그 하단에 있는 이메일로 요청주세요! 좋은 콘텐츠로 찾아올게요.
- 리밸런싱 주기를 설정합시다: 최소 분기별로는 배당률이 감소하는지, 옵션 프리미엄 수익이 너무 변하지 않았는지 점검해서 ETF의 주가가 올랐다면 파는 것도 방법이에요.
- 세금 캘린더: 5월 종합소득신고때 배당소득 세액을 확인해서 미리 준비해둬야겠죠? 연 4천 정도를 받으면 세액으로 최소 4~500을 내야하니 미리 준비해야돼요.
- 환 헤지: 달러 자산 비중이 높으니 환율이 내려갈때마다 분할해서 달러 구입을 해둔 자산으로만 배당주식을 매수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어요. 달러가 너무 비쌀때는 부담되잖아요 ㅠㅠ
- 목표 상향: 세후 월 300을 달성했으면, 지속적으로 채권이나 SGOV 같은 안전자산 및 개별주식에 재투자를 하거나, 배당주를 계속 모아서 월 400을 목표로 다시 움직이도록 계획을 세우면 좋겠죠?
마지막으로 초고배당 ETF들을 그나마 안전하게 투자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6️⃣ 초고배당 ETF(Layer 1)를 비교적 안전하게 투자하는 방법
코인베이스를 추종하는 CONY의 2025년 7월 기준 차트예요. 이걸 보면 자글자글하게 변동성이 주단위로 계속 생기죠? 그리고 현재 가격은 많이 떨어져있어요. 이게 힌트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해보면 좋아요.
- 어짜피 이런 초고배당주들은 변동성이 있기 때문에 주단위로 모니터링을 하다가 2~3% 소폭 떨어지면 그때 자산의 극히 일부를 투자한다.
- 상장한 이래로 계속 떨어져왔고 앞으로도 떨어질 여력은 있지만 최근에는 7~10달러를 오가고있기 때문에 지금처럼 7달러대로 떨어졌을때 일부를 매수한다.
이렇게 매수하면 9~10달러대로 올라갔을때 일부를 익절해서 위험을 조금은 낮출 수도 있고, 그냥 익절하지 않고 +1~20% 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마음으로 월 고배당을 계속 받을 수도 있어요.
결론
월 배당 300만원은 원금 1억~2억, 세후/세전 차이 이해, 그리고 본인의 변동성 허용 범위를 분명히 하면 달성 가능한 목표예요. 아직 배당금을 받는 것이 없다면 당연히 월 배당 10만원을 만드는 것부터 하면 되겠죠? 매달 조금씩 배당주를 매수해서 월배당금을 높이는 재미가 있어요. 초고배당주의 주가 변동과 환율 등락을 매주 점검하면서 투자하면 충분히 실행가능한 전략입니다. 배당주식 1500만원 투자해서 100만원 월세 내버리기 라는 글에서 제가 실제로 레이어 1~3을 조합해서 월 배당금 100만원 이상을 받는 것에 대해서 정리해놨어요. 궁금하시면 참고해보세요!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배당 투자, 재미와 안전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보세요. 😉
참고 링크
- PwC Korea – 개인소득세율(2023~) (PwC Tax Summaries)
- StockAnalysis – CONY, NVDY, MSTY, JEPQ, QYLD, SGOV, Realty Income 배당 데이터 (StockAnalysis, StockAnalysis, StockAnalysis, Nasdaq, Nasdaq, MarketChameleon.com, DividendMax)